5분이면 발급 받을 수 있는 소상공인확인서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상공인확인서는 사업자가 소상공인기본법 상 소상공인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증명하는 서류로 연평균 매출액 및 상시근로자수 등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만 발급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소상공인 지원사업에서 소상공인확인서는 제출 서류로 많이 요구하는 편이니 이 글을 통해 간편하게 발급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소상공인확인서 발급방법 시작합니다.
소상공인확인서 발급방법
먼저 아래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 “소상공인확인서 발급 페이지“로 이동해주세요.
이동하신 페이지에서 일단 회원가입을 먼저하셔야 합니다. “회원가입“을 눌러주세요.

“일반회원(개인/기업) 가입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동의 항목들이 여러개 나옵니다. 맨 아래로 쭉 내려주신 다음 “전체동의(선택 항목 제외)”를 눌러주시고 “인증받기“를 눌러 휴대폰 본인인증을 진행해주세요.

이제 회원가입 화면이 나옵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사업자등록번호, 기업명, 대표자명, 주소, 전화번호”를 모두 기입하신 후 “회원가입”을 완료해주세요.
회원가입을 완료하셨다면 다시 메인화면으로 돌아오셔서 “로그인”을 해주세요.

상단의 “중소기업확인서 발급신청”을 클릭하신 다음 아래 “신청서 작성”을 눌러주세요.

“개인 사업자 – 신청서작성하기”를 눌러주세요.

동의항목들이 나옵니다. 아래로 쭉 내려 “전체동의”를 체크하신 다음 “확인”을 눌러주세요.

“기업명, 대표자명, 기업유형, 본점사업자등록일, 본점 사업자번호, 본점 사업장주소 등”을 모두 기입해주세요.

그리고 아래로 화면을 내려 상시근로자 20명 이상 기업 해당여부, 필수자료 제출이 불가능한 기업해당여부에 해당하시면 체크를 하시고 “저장”을 눌러주세요.

이제 주요재무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금액을 천원단위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이제 상시근로자수를 입력하신 다음 “저장”버튼을 누르시고 “다음”버튼을 눌러주세요.

중소기업자간 경쟁입찰 참여제한 여부확인을 위한 자가진단서의 유의사항 및 각 항목 해당여부를 잘 확인하셨습니까?에 “예”를 선택하고 “제출자, 대표자”를 입력하신 후 “저장”버튼을 누르시고 “다음”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거의 끝났습니다. “신청자정보”를 모두 입력하신 후 “저장”버튼을 누르시고 하단의 “신청서 제출”을 눌러주세요.

이제 출력을 해볼까요? 메인화면에서 “중소기업확인서 발급신청”을 클릭하시고 “확인서 출력/수정”을 눌러주세요.

신청하신 소상공인확인서가 보입니다. 해당하는 조회결과를 체크하시고 하단의 “국문확인서 출력”버튼을 눌러주세요.

중소기업 확인서(소상공인 확인서) 발급이 완료되었습니다. 우측 상단의 “확인서인쇄”버튼을 통해 출력 또는 PDF 저장을 하실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중소기업 소상공인확인서 발급시 [주업종]은 어떻게 판단하나요?
2개 이상의 업종을 영위하는 경우 평균매출액등의 비중이 가장 큰 업종을 주업종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제품명 또는 서비스명을 통해 업종코드를 찾기 위해서는 통계청 ‘통계분류포털(http://kssc.kostat.go.kr)의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키워드 검색을 활용하기 바랍니다.
기관회원으로 가입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기관회원은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기획재정부에서 지정한 공공기관이 가입 가능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5분만에 발급가능한 중소기업 소상공인확인서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글로 풀다보니 좀 길고 다소 어려워 보이실 수 있으나 정말 간단합니다.
한번 발급 받아놓으시면 유효기간 내에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으니 꼭 발급 받으시길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